이 글에서는 IT 기기 및 전자기기 사용 시 접하게 되는 어려운 용어들을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정리하여 설명합니다. 이 내용을 통해 복잡한 기술 개념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T기기 & 전자기기 용어 쉽게 정리한 글
핵심 부품: 컴퓨터의 두뇌와 일꾼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 상세설명: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하며, 모든 계산과 명령 처리를 담당합니다. CPU 성능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작업 속도가 빨라집니다. 코어(Core) 개수와 클럭(Clock, GHz로 표시) 속도가 성능의 주요 지표입니다.
- 예시: 스마트폰으로 여러 앱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노트북으로 복잡한 영상 편집 작업을 할 때, CPU 성능이 좋아야 버벅거림 없이 원활하게 처리됩니다.
- RAM (Random Access Memory, 램)
- 상세설명: CPU가 현재 작업 중인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잠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책상 넓이에 비유할 수 있으며, RAM 용량이 클수록 여러 작업을 동시에 쾌적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는 사라집니다.
- 예시: 인터넷 창을 여러 개 띄우고, 문서 작업과 음악 감상을 동시에 할 때 RAM 용량이 부족하면 프로그램 전환 시 느려지거나 멈출 수 있습니다. 8GB RAM보다 16GB RAM이 더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합니다.
- 메인보드 (Motherboard)
- 상세설명: CPU, RAM, 그래픽카드 등 컴퓨터의 모든 주요 부품들을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중심 기판입니다. 각 부품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합니다.
- 예시: 컴퓨터 본체를 열었을 때 보이는 가장 큰 기판으로, 각 부품들이 장착될 소켓과 슬롯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저장 장치: 데이터 보관소
- SSD (Solid State Drive)
- 상세설명: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HDD에 비해 데이터 읽기/쓰기 속도가 매우 빠르고, 소음과 전력 소모가 적으며 충격에 강합니다. 운영체제 설치나 빠른 부팅/로딩을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 예시: 노트북 전원을 켰을 때 SSD가 장착된 경우 HDD보다 훨씬 빠르게 바탕화면이 나타나고, 프로그램 실행 속도도 빠릅니다.
- HDD (Hard Disk Drive)
- 상세설명: 자기 디스크(플래터)를 회전시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의 저장 장치입니다. SSD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동일 용량 대비 가격이 저렴하여 대용량 데이터(사진, 동영상 등) 저장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예시: 수백 기가바이트(GB) 또는 테라바이트(TB) 단위의 영화, 음악 파일 등 대용량 자료를 보관하는 데 적합합니다.
그래픽 처리: 화면을 보여주는 기술
-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 상세설명: 이미지나 영상 등 그래픽 관련 연산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부품입니다. 3D 게임, 고화질 영상 편집, 디자인 작업 등에서 중요하며, 성능이 높을수록 부드럽고 선명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CPU에 내장된 경우(내장 그래픽)와 별도 카드로 장착된 경우(외장 그래픽)가 있습니다.
- 예시: 고사양 게임을 최고 옵션으로 부드럽게 플레이하거나, 4K 영상 편집을 원활하게 하려면 고성능의 외장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
연결 방식: 세상과 기기를 잇는 방법
- Wi-Fi (Wireless Fidelity, 와이파이)
- 상세설명: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기기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 규격입니다. 공유기(Router)를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 특정 공간에서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합니다.
- 예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케이블 연결 없이 카페, 집 등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와이파이 덕분입니다.
- Bluetooth (블루투스)
- 상세설명: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주로 스마트폰, 이어폰,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등 주변 기기를 케이블 없이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습니다.
- 예시: 무선 이어폰을 스마트폰에 연결해 음악을 듣거나, 블루투스 스피커로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 USB (Universal Serial Bus)
- 상세설명: 컴퓨터와 주변 기기(키보드, 마우스, 외장하드, 프린터, 스마트폰 충전 등)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준 규격입니다. 단자 모양(Type-A, Type-C 등)과 전송 속도(2.0, 3.0, 3.1 등)에 따라 종류가 나뉩니다.
- 예시: USB 메모리를 컴퓨터에 꽂아 파일을 옮기거나, USB 케이블로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 C타입이 많이 보급되어 앞뒤 구분 없이 꽂을 수 있습니다.
-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상세설명: 영상과 음성 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규격입니다. 주로 컴퓨터, 노트북, 게임기 등을 TV나 모니터에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노트북 화면을 더 큰 TV 화면으로 보거나, 게임 콘솔을 모니터에 연결하여 게임을 즐길 때 HDMI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화면 표시: 보는 즐거움을 결정하는 요소
- 해상도 (Resolution)
- 상세설명: 화면이 몇 개의 점(픽셀, Pixel)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가로 픽셀 수 x 세로 픽셀 수로 표현하며,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선명하고 세밀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 HD(1280×720), FHD(1920×1080), QHD(2560×1440), UHD/4K(3840×2160))
- 예시: 동일한 크기의 모니터라도 FHD보다 4K 해상도 모니터가 훨씬 더 선명하고 깨끗한 화질을 보여줍니다.
- 주사율 (Refresh Rate, Hz)
- 상세설명: 디스플레이 화면이 1초에 몇 번이나 새로운 이미지로 갱신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단위는 헤르츠(Hz)를 사용합니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화면 전환이 부드럽게 느껴지며, 특히 빠르게 움직이는 게임이나 영상에서 차이가 두드러집니다.
- 예시: 일반적인 모니터는 60Hz이지만, 게이밍 모니터는 144Hz, 240Hz 등 높은 주사율을 지원하여 게임 화면이 끊김 없이 부드럽게 보입니다.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 OS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 상세설명: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앱)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핵심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 예시: 컴퓨터의 윈도우(Windows), 맥OS(macOS),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Android), iOS 등이 대표적인 운영체제입니다. OS가 없으면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앱/어플)
- 상세설명: 특정 목적(문서 작업, 인터넷 검색, 게임, 사진 편집 등)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OS 위에서 작동합니다.
- 예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구글 크롬, 카카오톡, 배틀그라운드 등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네트워크와 인터넷 접속
bps (bits per second)
- 상세설명: 초당 전송되는 비트(bit)의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속도 단위입니다. 인터넷 속도나 데이터 통신 속도를 표시할 때 사용되며, 이 수치가 높을수록 더 빠른 속도를 의미합니다. 실제 파일 다운로드 속도는 보통 바이트(Byte, 1Byte = 8bits) 단위로 체감되므로, bps를 8로 나누면 초당 바이트 전송률(B/s)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예: Mbps = Mega bps, Gbps = Giga bps)
- 예시: 100Mbps 인터넷 요금제는 이론적으로 초당 100메가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초당 약 12.5메가바이트(MB/s)의 다운로드 속도에 해당합니다.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 상세설명: 인터넷에 연결된 각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공유기 등)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출발지와 목적지를 구분하는 주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IPv4(예: 192.168.0.1)와 IPv6(더 긴 형식) 방식이 있습니다.
- 예시: 집 주소처럼 각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인터넷 세상에서 고유하게 가지는 식별 번호로, 웹사이트 접속 시 서버가 내 기기의 IP 주소를 통해 응답 데이터를 보내줍니다.
공유기 (Router)
- 상세설명: 하나의 인터넷 회선(유선)을 여러 대의 기기가 나누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보통 유선 연결(LAN 포트)과 무선 연결(Wi-Fi) 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PC 등 다양한 기기를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예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설치해 준 모뎀에 공유기를 연결하고, 공유기에서 나오는 Wi-Fi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유선으로 데스크톱 PC를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종류
LCD (Liquid Crystal Display)
- 상세설명: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입니다.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뒤쪽에 백라이트(Backlight, 주로 LED)가 필요합니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밝기가 높아 널리 사용되지만, 검은색 표현이나 응답 속도 면에서는 OLED에 비해 다소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대부분의 컴퓨터 모니터, 보급형 TV, 구형 스마트폰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백라이트 방식(IPS, VA, TN 등)에 따라 시야각이나 색 재현율에 차이가 있습니다.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상세설명: 유기 화합물(Organic Material)에 전류를 흘려 스스로 빛을 내게 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더 얇게 만들 수 있고, 각 픽셀이 스스로 빛을 끄고 켤 수 있어 완벽한 검은색 표현과 높은 명암비 구현이 가능합니다. 응답 속도가 빠르고 색 재현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예시: 프리미엄 스마트폰(아이폰, 갤럭시 상위 모델 등), 고급형 TV, 일부 노트북에서 사용되며, 생생하고 깊이 있는 색감과 빠른 화면 전환이 특징입니다.
추가 인터페이스 | 확장성
썬더볼트 (Thunderbolt)
- 상세설명: 인텔과 애플이 공동 개발한 고속 데이터 전송 및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 규격입니다. USB Type-C 단자 모양을 공유하며, USB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최대 40Gbps 이상)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연결, 외부 그래픽 카드 연결(eGPU), 고속 충전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포트로 지원합니다.
- 예시: 최신 노트북(맥북, 고급 윈도우 노트북 등)에 탑재되어 있으며, 썬더볼트 지원 외장 SSD를 연결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파일을 전송하거나, 여러 대의 4K 모니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 용어 | 프로세서와 배터리
AP (Application Processor)
- 상세설명: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핵심 두뇌 역할을 하는 시스템 온 칩(SoC)의 일종입니다. CPU, GPU, 통신 칩(모뎀), 메모리 컨트롤러 등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칩에 통합되어 있어, 앱 실행, 그래픽 처리, 통신 등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좌우합니다.
- 예시: 스마트폰의 앱 구동 속도, 게임 그래픽 성능, 배터리 효율 등은 AP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퀄컴의 스냅드래곤(Snapdragon), 애플의 A시리즈 바이오닉 칩, 삼성의 엑시노스(Exynos) 등이 대표적인 AP 브랜드입니다.
배터리 용량 (mAh)
- 상세설명: 밀리암페어시(milliampere-hour)의 약자로, 배터리가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수치가 클수록 배터리가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며, 결과적으로 기기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 시간은 기기의 전력 효율, 사용 패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예시: 4000mAh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폰은 3000mAh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폰보다 일반적으로 더 긴 사용 시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면 밝기, 실행 앱 종류 등에 따라 실제 지속 시간은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
고속 충전
- 상세설명: 일반적인 충전 방식보다 더 높은 전력(W, 와트)을 공급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입니다. 충전 규격(USB PD, Qualcomm Quick Charge 등)과 지원하는 최대 W 수치가 다양하며,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기기와 충전기(어댑터), 때로는 케이블까지 함께 사용해야 최적의 속도로 충전됩니다.
- 예시: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고속 충전기에 연결하면, 30분 만에 배터리 용량의 50% 이상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쁜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일반 충전기로는 이 속도를 낼 수 없습니다.
컴퓨터 성능 벤치마크 | 측정 도구
벤치마크 (Benchmark)
- 상세설명: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표준화된 테스트 또는 테스트 프로그램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제품 간의 성능을 비교하거나, 시스템 튜닝 전후의 성능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 CPU 성능 테스트를 위해 Cinebench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점수를 비교하거나, SSD의 읽기/쓰기 속도를 CrystalDiskMark로 측정하여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게임 내 벤치마크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그래픽 설정에서의 평균 프레임 속도를 측정하기도 합니다.
프레임 (FPS, Frame Per Second)
- 상세설명: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의 약자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1초 동안 화면에 표시하는 정지 이미지(프레임)의 수를 나타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영상이나 게임 화면의 움직임이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보입니다. 주로 게임 성능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예시: 게임 플레이 시 60FPS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화면으로 간주되며, 30FPS 미만이면 화면이 끊기거나 둔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 성능이 좋을수록 높은 FPS를 유지하기 유리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 데이터의 보관과 활용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상세설명: 인터넷 네트워크(클라우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서버 자원을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 컴퓨팅 파워, 소프트웨어 등 IT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기기에 설치하거나 저장하지 않고, 필요할 때 온라인상의 자원을 빌려 쓰는 개념입니다.
- 예시: 구글 드라이브나 드롭박스에 파일을 저장해두고 어느 기기에서든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넷플릭스로 스트리밍 영상을 감상하는 것, 웹 버전의 Microsoft 365 같은 온라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 모두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는 사례입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Cloud Storage)
- 상세설명: 클라우드 컴퓨팅의 일종으로, 인터넷상의 원격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기기에서 쉽게 데이터에 접근하고, 동기화하며, 백업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구글 포토나 아이클라우드에 자동으로 백업하여 나중에 태블릿이나 컴퓨터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개인 파일 저장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 파일을 공유하는 용도로도 유용합니다.
사운드 기술 | 듣는 경험의 차이
노이즈 캔슬링 (Noise Cancelling)
- 상세설명: 주변의 원치 않는 소음(Noise)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마이크로 주변 소리를 감지한 후, 그 소리와 반대되는 위상의 음파를 발생시켜 소음을 상쇄하는 액티브 노イズ 캔슬링(ANC) 방식을 의미합니다. 물리적인 차음(이어컵 디자인 등)과는 구분됩니다.
- 예시: 비행기 안이나 시끄러운 카페에서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헤드폰을 사용하면 엔진 소리나 주변 대화 소리가 크게 줄어들어 음악이나 팟캐스트에 집중하기 좋습니다.
오디오 코덱 (Audio Codec)
- 상세설명: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인코딩(압축)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를 다시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압축 해제)하는 기술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특히 블루투스 오디오 전송 시, 음질(데이터 압축률), 지연 시간(Latency), 안정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 예시: 블루투스 이어폰을 연결할 때 SBC(기본 코덱), AAC(주로 애플 기기 사용), aptX(퀄컴 기술, 좋은 음질 및 낮은 지연율), LDAC(소니 개발, 고해상도 음원 지원) 등 다양한 코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기와 이어폰 양쪽에서 고음질 코덱을 지원해야 더 나은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센서 | 스마트한 기능의 기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상세설명: 여러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지구상 사용자의 현재 위치, 속도, 시간 등을 계산하는 위성항법 시스템입니다. 모바일 기기에서는 길 찾기(내비게이션), 위치 기반 서비스, 사진의 위치 정보 기록(지오태깅) 등에 널리 활용됩니다.
- 예시: 스마트폰에서 지도 앱을 이용해 길 안내를 받거나, 건강 앱으로 달리기 경로를 추적하는 것, 사진에 촬영 장소 정보를 추가하는 것 모두 GPS를 활용합니다.
가속도 센서 (Accelerometer)
- 상세설명: 기기의 움직임 변화율(가속도), 기울어짐, 방향 등을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화면 자동 회전, 걸음 수 측정, 동작을 이용한 게임 컨트롤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의 기반이 됩니다.
- 예시: 스마트폰을 가로로 돌리면 동영상이나 게임 화면이 자동으로 가로 모드로 전환되거나, 스마트워치가 진동과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를 세는 데 활용됩니다.
디스플레이 심화 | 화질과 표현력
HDR (High Dynamic Range)
- 상세설명: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 사이의 명암 비율(Dynamic Range)을 확장하여, 실제 눈으로 보는 것에 더 가까운 생생하고 풍부한 색감과 디테일을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영상 콘텐츠나 게임에서 밝은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 예시: HDR을 지원하는 TV나 모니터로 HDR 콘텐츠(넷플릭스 오리지널, 최신 게임 등)를 시청하면, 기존 SDR(Standard Dynamic Range) 화면에서는 뭉개져 보이던 어두운 장면의 디테일이 살아나거나, 태양 빛이나 폭발 장면 등이 훨씬 현실감 있게 표현됩니다. HDR10, Dolby Vision 등 다양한 규격이 있습니다.
색 재현율 (Color Gamut)
- 상세설명: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특정 색 공간 표준(sRGB, DCI-P3, Adobe RGB 등) 대비 얼마나 넓은 범위의 색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색 재현율이 높을수록 더 다채롭고 실제에 가까운 색상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예시: 사진 편집이나 디자인 작업을 위한 전문가용 모니터는 sRGB 100% 이상 또는 DCI-P3, Adobe RGB와 같은 광색역을 지원하여 정확한 색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일반 모니터보다 훨씬 풍부하고 미묘한 색상 차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T기기 & 전자기기 용어 쉽게 정리한 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